웹 서비스나 앱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개발자가 소스코드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개발 요구사항 문서가 반드시 필요하다. 사업가, 기획자, 개발자 모두를 위한 최고의 프로토타이핑툴 파워목업을 소개한다.
PowerMockup
구글에서 powermockup 이라고 검색하면 최상단에 뜬다.
파워목업 홈페이지 가운데 왼쪽 DOWNLOAD TRIAL 버튼을 클릭하면 설치 파일이 다운로드 된다.
파워목업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너무 궁금하다면 바로옆의 WATCH THE VIDEO 버튼을 눌러보자.
간단하고 짧은 영상으로 파워목업에 대해 쉽게 설명해 준다.
필자가 직접 파워목업을 다운로드해 보았다.
2019년 7월 현재 버전은 4.3.3 이다.
다운로드가 완료되고 실행 파일을 클릭하니 다음과 같이 Setup Wizard 가 실행 되었다.
파워목업 설치를 위해 Next 를 가볍게 눌러주자.
라이센스 관련 설명이 나온다. 오른쪽 하단의 install 버튼을 살포시 눌러준다.
인스톨 프로그레스 바가 꽉 차면 다음과 같이 설치가 완료되었다는 아름다운 메시지가 뜬다.
이제 파워목업을 실행해 보자. Run PowerMockup 버튼을 누른다.
지금부터가 제일 놀라운 부분이다.
PowerMockup 버튼을 눌러서 실행을 하면 실제로는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바로 그 오피스 툴
파워포인트가 실행된다 !!!! 두둥 !!!!! 짠!!!!
하지만 기존의 파워포인트와는 무언가 다르다. 파워포인트 오른쪽 부분에 파워목업 item 들이 여러가지 보인다.
잘 보면 페이지별로 파워목업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자세히 설명해 놓았다.
간단한 기능 테스트는 해당 trial 버전으로 맘껏 느껴볼 수 있다.
좀 더 전문적인 사용과 다양한 기능, 상업적 이용을 원한다면 license 를 구매해야 한다.
생각보다 비싸지 않고 월정기 구매도 아니다. 윈도우 라이센스처럼 no expire 즉 lifetime license 이다.
여지껏 쓸데없는 담배값, 술값, 기름값, 로또구매값으로 날린 돈을 생각하면 이건 껌값이다.
파워목업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여타의 프로토타입 툴과 다르게 파워포인트와 연동되도록 제작되어 있어서 훨씬 더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파워포인트를 다룰 줄 아는 사람들은 누구나 너무나 쉽게 프로토타입을 제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파워목업은 무려 800가지 인상의 User Interface Elements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수 많은 기능에 대한 설명은 파워목업 홈페이지를 참조하기 바란다.
파워목업은 빠른 검색과 드래그앤 드랍 기능을 제공한다.
* 영어가 짧아서 고민인 분들은 구글 번역기를 사용하기 바란다. *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는 Custom Shapes 를 제공한다.
파워포인트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넘어선 더욱 뛰어난 기능들도 제공한다.
파워목업의 가장 큰 장점은 파워포인트에 연동된다는 것이다. 쉽게 사용가능하고 누구나 접근할 수 있고, 파워포인트의 프리젠테이션 기능으로 스토리텔링이 가능하며, 다수의 팀원들과 원활하게 협업이 가능하다. 다양한 포맷의 문서로 import / export 되어 더욱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무려 이렇게나 많은 글로벌 대기업들이 이미 파워목업을 사용하고 있다.
아직도 파워목업 구매를 망설이고 있다면, 그대는 얼리어댑터가 아닌 슬로우어댑터 임이 분명하다.
지금 파워목업을 설치하고 꼭 만들어 보고 싶었던 웹사이트나 앱의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보자
그리고, 아는 개발자 친구가 있다면 한번 슬쩍 보여주면 어떨까?
개발자가 먼저 같이 일하자고 제안할지도 모를 일이다.
아니면 같이 만든 앱이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앱스토어에서 무궁무진한 수익을 안겨줄지도 모를 일이고.
Who Know? Why Not Me? Why Not You?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싸이월드 클럽 네이버카페로 이전 (0) | 2020.02.01 |
---|---|
온라인 동영상 다운로드 방법 (0) | 2019.12.31 |
YouTube 유튜브 채널에 맞춤 URL 사용하기 (1) | 2019.04.20 |
워드프레스에 CSV 파일 import 시 한글 깨짐 해결방법 (1) | 2017.06.08 |
초저전력 원적외선 발판히터 (0) | 2012.11.19 |